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CDN(Content Delivery Network)?
    CS 2024. 6. 22. 02:40

    인터넷 사용이 일상화되는 만큼, 웹사이트 속도는 사용자 경험에 큰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가 되었다.

    사용자들은 웹사이트 로딩 속도가 느리면 금방 지루해하며, 다른 사이트로 이동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웹사이트 관리자들은 사용자에게 더 나은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웹사이트 속도 향상을 위한 노력을 지속해야 한다.

     

    그리하여 웹사이트 속도를 향상시키는 방법 중 가장 효과적인 CDN을 사용하게 되는데, 이 CDN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고자 한다.


    CDN(Content Delivery Network)?

    웹사이트 콘텐츠를 전 세계 여러 곳에 분산된 서버에 저장하고 사용자에게 가장 가까운 서버로부터 콘텐츠 제공하는 기술이다.

     

    CDN은 웹사이트의 이미지나 CSS, JS 파일과 같이 정적 콘텐츠와 웹 페이지 자체, 영상 스트리밍과 같은 동적 콘첸트 모두를 지원한다. 웹 사이트 트래픽이 많거나 사용자들이 전 세계 여러 곳에 분포되어 있는 경우, CDN을 사용하면 웹사이트 속도를 크게 향상할 수 있다.

     

    CDN 등장 배경

    서버는 웹사이트에 방문하는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따라 컨텐츠를 보내주며, 너무 많은 요청이 들어올 경우 과부하가 생기게 되는데, 트래픽이 많은 웹사이트의 경우, 전 세계에서 수많은 요청들이 들어오게 된다.

     

    예를 들어, 유튜브나 구글과 같은 글로벌 서비스는 수많은 유저를 보유하고 있으며, 이 유저들의 위치 또한 다양하고, 범위가 넓다.

    해외에 서버가 있는 사이트를 한국에서 접속할 경우 지역적으로 먼 거리로 인해 콘텐츠를 불러오는 속도가 현저히 느려질 것이다.

    이러한 수많은 요청이 겹치게 되면, 서버에서는 요청을 감당해낼 수 없어 과부하가 걸리기 쉽상이다.

     

    그리하여, 이러한 과부하 현상을 막고 지역적으로 먼 거리에 위치한 곳에서 서버에 요청을 보내도 콘텐츠를 불러오는 속도가 느려지는 현상을 방지하고자 CDN이 등장하게 된 것이다.

     

    CDN 사용하지 않을 경우

     

    CDN 사용할 경우

    CDN 작동 방식

    CDN 작동 방식은 다음과 같다.

    1. 사용자가 웹 브라우저에 웹사이트 주소 입력하면, 사용자의 브라우저는 가장 가까운 CDN 서버에 콘텐츠를 요청한다.
    2. CDN 시스템은 사용자의 위치, 네트워크 상태, 웹사이트 트래픽 등을 고려하여 가장 적합한 CDN 서버를 선택한다.
    3. 선택된 CDN 서버는 사용자에게 요청된 콘텐츠를 빠르게 전송한다. CDN 서버에는 웹사이트 콘텐츠가 미리 저장되어 있기에, 사용자는 원본 서버에서 직접 콘텐츠를 다운로드하는 것보다 훨씬 빠르게 콘텐츠를 받을 수 있다.
    4. CDN 서버는 사용자에게 전송한 콘텐츠를 캐시에 저장한다. 동일한 콘텐츠가 다시 요청될 경우, CDN 서버는 캐시에서 콘텐츠를 제공하여 원본 서버에 대한 부하를 줄일 수 있는데, 이를 캐싱이라고 한다.

    CDN 사용의 장점

    웹사이트 속도 향상

    CDN은 사용자에게 가장 가까운 서버로부터 콘텐츠 제공하기에, 웹사이트 로딩 속도를 크게 향상할 수 있다.

     

    사용자 만족도 향상

    사용자들은 로딩 시간이 길수록 지루함을 느끼는데, CDN을 통해 웹사이트 속도 향상으로 사용자 만족도 높인다.

     

    번드폭 감소

    CDN 사용하면 원본 서버에 대한 부하를 줄여, 번드폭 사용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번드폭은 데이터 전송 속도를 나타내는 단위로, 초당 전송 가능한 비트 수를 의미한다.

     

    가용성 향상

    CDN은 전 세계 여러 곳에 서버를 가지고 있기에, 웹사이트 가용성을 높일 수 있다.

     

    SEO 개선

    웹사이트 속도는 SEO에도 중요한 요소이기에, CDN을 사용하면 검색 결과에서 웹사이트 순위를 높일 수 있다.

     

    여기서, SEO란 Search Engine Optimization의 약자로, 검색 엔진 최적화를 뜻한다.

     

    CDN 종류

    엣지 CDN

    • 사용자에게 가장 가까운 위치에 서버를 배치하여 최적의 성능을 제공하는 CDN이다.
    • 인터넷 서비스 제공업체(ISP)의 네트워크 가장자리에 위치한 서버를 사용하기에, 사용자와의 거리가 가장 짧다.
    • 정적 콘텐츠뿐만 아니라 동적 콘텐츠도 지원하며, 빠른 속도와 높은 가용성을 제공한다.
    • 대표적으로 Akamai, Cloudflare, Amazon CloudFront 등이 있다.

    기본 CDN

    • 원본 서버와 가까운 위치에 서버를 배치하여 콘텐츠를 빠르게 전송하는 CDN이다.
    • 엣지 CDN만큼 빠르지는 않지만, 원본 서버에 대한 부하를 줄이고 콘텐츠 전송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 비용이 저렴하며, 비교적 작은 규모의 웹사이트에 적합하다.
    • 대표적으로 DigitalOcean, Linode, Vultr 등이 있다.

    결론

    CDN은 웹사이트 속도를 향상시키고 사용자 경험을 개선하는 데 매우 효과적인 기술이다.

    웹사이트 트래픽이 많거나 사용자들이 전 세계 여러 곳에 분포되어 있는 경우, CDN 도입을 적극적으로 고려해야 한다.

     

    CDN 서비스는 다양하기에, 웹사이트의 특성에 맞는 적합한 CDN 서비스를 선택하고 정확하게 설정해야 한다. 또한, CDN 도입 후 웹사이트 성능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필요에 따라 CDN 설정을 조정해야 한다.

    'CS' 카테고리의 다른 글

    브라우저 렌더링 과정  (0) 2024.07.03
    TCP vs HTTP  (0) 2024.06.22
    DNS(Domain Name System)?  (0) 2024.06.19
    HTTP/HTTPS?  (1) 2024.06.19
    GitHub Actions  (1) 2024.06.02
Designed by Tistory.